관리 메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얻는게 없다 !

공모주란 ? 2023 변경된 수요 예측 및 체크 포인트 본문

공모주/공모주의 정석 A to Z

공모주란 ? 2023 변경된 수요 예측 및 체크 포인트

jimmy.Lee 2023. 1. 2. 07:16
반응형

공모주란? 2023 변경된 수요 예측 및 체크 포인트

 

안녕하세요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얻는 것도 없다!

 

공모주시장이 연이어 약세 및 많은 제도 변화가 있어서 개인 투자자에게 뭐가 좋은지 아닌지가 참 어려운 시기인 거 같습니다. 이런 때가 오히려 공모주를 미리 공부하고 미래에 더 좋은 공모주를 고르는 선별 능력을 길러서 다음 공모주 호황기가 왔을 때 큰 이익을 볼 준비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공모주의 정의부터 2023년 변경점을 함께 체크해가며 IPO의 새로운 시장을 배워나가 보겠습니다.

 

공모주 청약은 IPO ( Initial Public Offering )이라는 기업공개를 통해 증권 거래소에 신규 상장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삼성전자, 카카오 등도 처음부터 주식이 있던 게 아니죠. IPO를 통해 기업공개를 하고 거기서 발행되 주식을 일반 투자자가 살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그럼 자세한 공모주 청약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머니웨이

상장하고 싶은 기업은 이제 상장하고 싶은 주관사를 찾아다니며 선정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그 기업에 대한 평가(기업심사)를 증권사에서 하게 되고 문제가 없다면 예비심사 신청을 거쳐서 증권 신고서를 제출하게 됩니다. 

 

여기서 이제 많은 분들이 청약 전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는 "수요예측"을 진행하게 됩니다. 공모주 청약을 하시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데요. 지금 상장하는 기업이 정말로 좋은 기업인지 , 아니면 회사의 이익만을 위해서 개인 투자자의 돈을 끌어만 모으는 용도로 기업상장을 하려고 하는지 매의 눈으로 지켜봐야 할 곳입니다!

수요 예측기간은 기존은 2일로 딱 한번 진행하였는데요 , 이 부분이 2023년 이후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수요 예측 내실화를 위해 수요 예측 기간을 늘리고(7일 내외) , 횟수도 2번을 진행한다는 것입니다. 아직 수요 예측을 2번을 하면서 어떻게 경쟁률이 공개가 될지는 기다려봐야겠지만,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 봤을 때 그 공모주의 분위기 파악을 한번 더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생겼다고 보시면 될꺼같습니다. 물론.. 수요예측 기간을 늘린 거 자체는 솔직히 크게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대부분의 기관 투자자들은 2일의 수요예측 때 역시 오후에나 몰려서 했기 때문이죠.. 

본 이미지를 보시면 수요예측 경쟁률이 높을수록 2021년 까지는 높은 수익률을 보여줬지만, 그 공식들은 사실 금리 인상시기와 맞물려 공모주 시장 역시 거품이 빠지게 되었고 , 웬만한 경쟁률을 보고 청약을 해도 수수료도 건지기 힘든 수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기업의 허수성 청약등을 방지하는 제도가 생기는 만큼 예전 2019-2020년 정도의 수요 예측 경쟁률이면 나름 합리적으로 판단할 기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2023년 공모주 청약을 해보면서 바뀌는 부분은 매뉴얼 업데이트 하듯이 정리할 예정입니다. 이제는 1000:1 이상의 경쟁률이 항상 당연한 것이 아닐 것이기에 좀 더 냉철한 기업 분석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다음 공모주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